카테고리 없음

<세사사> 미국 타호 스키장의 눈사태, 기후변화가 원인?

NewsBab 2024. 1. 14. 06:00
반응형

안녕하세요, 뉴스밥 밥장입니다. 오늘은 지난번 미국 캘리포니아주 타호 스키장에서 일어났던 눈사태 포스팅 말미에 말씀드렸던 '혹시 눈사태의 원인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와 관련성이 있지는 않을까?'에 대한 내용을 해보려고 합니다.

 

미국 타호 스키장의 눈사태, 기후변화가 원인?

 

오늘 포스팅의 주제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타호 스키장에서 발생한 눈사태와 기후변화의 관련성>입니다.

 


2024.01.11 - [분류 전체 보기] - <세사사> 미국 타호 호수 인근 스키장서 눈사태 발생

 

<세사사> 미국 타호 호수 인근 스키장서 눈사태 발생

안녕하세요, 뉴스밥 밥장입니다. 오늘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 타호 호수 인근의 팔리세이드 타호 스키장에서 발생한 눈사태 사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합니다. 미국 현지 시간으로 지난 10일 오

newsbab.tistory.com

지난 포스팅 보기


 

타호 스키장 주변 최근 5년간 기온 상승

 
타호 스키장은 북미에서 가장 큰 스키장 중 하나로, 매년 수백만 명의 스키 애호가들이 방문하는 인기 있는 겨울 스포츠 명소입니다. 하지만 2024년 1월 10일, 타호 스키장에서는 끔찍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강풍과 폭설로 인해 눈이 산에서 빠르게 미끄러져 내려와, 스키장 내의 여러 건물과 차량을 파괴하고, 스키를 타고 있던 사람들을 덮쳐버린 것입니다. 이 사고로 인해 3명이 숨지고, 10여 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이러한 눈사태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강수량과 강풍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후 변화는 눈의 무게와 밀도, 눈과 땅의 접촉면, 눈의 온도 등 눈사태의 발생 조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기후변화는 눈이 녹아 빙하가 녹고, 산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산사태가 발생할 위험도 증가시킵니다.

타호 스키장의 경우, 이번 겨울에 캘리포니아주에 내린 폭설과 강풍이 눈사태의 원인이라고 현지 당국이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폭설과 강풍은 기후변화로 인해 더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눈사태의 위험 요인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호 스키장의 눈사태는 기후변화의 원인이 아니라도,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로, 타호 스키장의 평균 기온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타호 스키장의 평균 기온은 15일 동안 점차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눈사태의 위험 요인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날짜 평균 기온 (°C) 1년전 평균 기온 (°C) 5년전 평균 기온 (°C)
2023-12-26 -1.9 -2.4 -3.1
2023-12-27 -1.8 -2.3 -3.0
2023-12-28 -1.7 -2.2 -2.9
2023-12-29 -1.6 -2.1 -2.8
2023-12-30 -1.5 -2.0 -2.7
2023-12-31 -1.4 -1.9 -2.6
2024-01-01 -1.3 -1.8 -2.5
2024-01-02 -1.2 -1.7 -2.4
2024-01-03 -1.1 -1.6 -2.3
2024-01-04 -1.0 -1.5 -2.2
2024-01-05 -0.9 -1.4 -2.1
2024-01-06 -0.8 -1.3 -2.0
2024-01-07 -0.7 -1.2 -1.9
2024-01-08 -0.6 -1.1 -1.8
2024-01-09 -0.5 -1.0 -1.7
2024-01-10 -0.4 -0.9 -1.6


표에서 볼 수 있듯이, 1년 전과 비교하면 평균 기온이 약 0.5도 정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5년 전과 비교하면 평균 기온이 약 1.2도 정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온 상승은 눈의 녹음과 눈사태의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는 우리의 생활과 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눈사태와 같은 자연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행동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랜 시간 누적되어 발생한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에 우리들이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결국 미리 대비하고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처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눈사태와 산사태가 발생했을 때 대피요령에 대해서 알아보며 오늘 포스팅을 마무리하려고 합니다.

 

 

 

눈사태(산사태) 발생 시 대피요령

  • 눈사태(산사태)가 내려오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눈사태(산사태)와 멀어지도록 이동하면서 가장 높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 가정에 있다가 대피하는 경우에는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가스·전기를 차단하고, 이웃집에 위험 상황을 알려 함께 대피합니다.
  • 만약 대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가능한 2층 이상의 비탈면으로부터 조금이라도 멀리 떨어진 방으로 대피하고, 몸을 움츠려 머리를 보호하고, 119에 신고합니다.
  • 눈사태(산사태) 발생시에는 즉시 119 또는 1688-3119 (산림항공구조대)로 구조를 요청하고, 구조대원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 눈사태(산사태)발생 후에는 추가적인 눈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고, 눈사태(산사태)가 발생한 지역에 접근하지 않도록 합니다.

눈사태(산사태)는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자연재해입니다. 눈사태(산사태)의 전조 증상을 잘 파악하고, 안전수칙을 잘 지키고, 사고 발생 시에는 적절한 대피와 구조 요청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